[React with TypeScript] 타입스크립트와 Context API 활용하기
📄 타입스크립트와 Context API 활용하기
Context API를 사용할 때 state
를 위한 Context와 dispatch
를 위한 Context를 따로 만들어 줍니다.
이때 dispatch
를 위한 타입을 설정하면 dispatch
에서 리액트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.
액션들의 타입을 dispatch
의 Generics
로 설정했습니다.
// 예시
type SampleDispatch = Dispatch<Action>;
// src/SampleContext.tsx
import React, { useReducer, useContext, createContext, Dispatch } from "react";
// 필요한 타입들을 미리 선언
type Color = "red" | "orange" | "yellow";
// 상태를 위한 타입
type State = {
count: number;
text: string;
color: Color;
isGood: boolean;
};
// 모든 액션들을 위한 타입
type Action =
| { type: "SET_COUNT"; count: number }
| { type: "SET_TEXT"; text: string }
| { type: "SET_COLOR"; color: Color }
| { type: "TOGGLE_GOOD" };
// 디스패치를 위한 타입 (Dispatch 를 리액트에서 불러올 수 있음), 액션들의 타입을 Dispatch 의 Generics로 설정
type SampleDispatch = Dispatch<Action>;
// Context 만들기
const SampleStateContext = createContext<State | null>(null);
const SampleDispatchContext = createContext<SampleDispatch | null>(null);
// 리듀서
function reducer(state: State, action: Action): State {
switch (action.type) {
case "SET_COUNT":
return {
...state,
count: action.count, // count가 자동완성되며, number 타입인걸 알 수 있습니다.
};
case "SET_TEXT":
return {
...state,
text: action.text, // text가 자동완성되며, string 타입인걸 알 수 있습니다.
};
case "SET_COLOR":
return {
...state,
color: action.color, // color 가 자동완성되며 color 가 Color 타입인걸 알 수 있습니다.
};
case "TOGGLE_GOOD":
return {
...state,
isGood: !state.isGood,
};
default:
throw new Error("Unhandled action");
}
}
// SampleProvider 에서 useReduer를 사용하고
// SampleStateContext.Provider 와 SampleDispatchContext.Provider 로 children 을 감싸서 반환합니다.
export function SampleProvider({ children }: { children: React.ReactNode }) {
const [state, dispatch] = useReducer(reducer, {
count: 0,
text: "hello",
color: "red",
isGood: true,
});
return (
<SampleStateContext.Provider value={state}>
<SampleDispatchContext.Provider value={dispatch}>
{children}
</SampleDispatchContext.Provider>
</SampleStateContext.Provider>
);
}
// state 와 dispatch 를 쉽게 사용하기 위한 커스텀 Hooks
export function useSampleState() {
const state = useContext(SampleStateContext);
if (!state) throw new Error("Cannot find SampleProvider"); // 유효하지 않을땐 에러를 발생
return state;
}
export function useSampleDispatch() {
const dispatch = useContext(SampleDispatchContext);
if (!dispatch) throw new Error("Cannot find SampleProvider"); // 유효하지 않을땐 에러를 발생
return dispatch;
}
null체킹을 해주는 커스텀 훅을 만드는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.
null체킹을 하지 않으면 useSampleState
의 결과값의 타입은 State | null
이 됩니다.
하지만 커스텀 훅을 통해 null체킹을 해준다면 유효한 코드의 타입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.
Context API에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하면 Context 안에 들어있는 상태를 조회할 때, 새로운 액션을 디스패치해야 할 때 자동완성이되어 개발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.
출처
- 패스트캠퍼스 for velopert
Leave a comment